본 과제는 기본적인 리눅스 쉘 명령어를 통한 디렉토리 조작 능력과 CLI 명령어를 통한 기본적인 Git 조작 능력을 함양하기 위함입니다. 앞서 ~/.ssh 파일에 Github 과 소통하기 위한 키 등록이 되어있어야합니다.


앞선 수업에서 진행했던 Github 과의 SSH 접속 설정을 제대로 따랐다는걸 가정

<aside> 🛠 수업 실습 : 원격 Github 과 로컬 Git 과 SSH 통신하기 위한 보안 설정

1. Bash 명령어 활용 복습 및 Git 시작 방법

아래의 절차를 따라합니다. 익숙하지 않다면 끝나고 다시 처음부터, 반복적으로 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.

1.1. Github 과 과거에 연결한 SSH 리셋 (known_hosts 내 Github 내용 삭제)

<aside> ✔️ SSH 에서 known_hosts 파일의 목적은 무엇인가? (출처 : 리눅스 known_hosts 트러블슈팅)

SSH 소통 절차

known_hosts 파일은 클라이언트가 SSH로 접속하는 원격 서버의 호스트 키(SSH 호스트의 공개키)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. 클라이언트가 처음으로 원격 서버에 접속할 때, 서버의 공개키를 받아와서 이 파일에 저장합니다. 이후에 클라이언트가 같은 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known_hosts 파일을 확인하여 서버의 공개키가 변경되지 않았는지 검사합니다. 변경이 감지되면 클라이언트는 경고를 표시하고 연결을 거부합니다. 이 파일은 보안을 강화하고 중간자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 = to check that it isn't connecting to an impersonator.

authorized_keys 파일은 원격 서버에 로그인할 때 사용자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공개키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. 클라이언트 측에서 생성된 개인키와 서버 측의 authorized_keys 파일에 저장된 공개키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합니다. 클라이언트 측의 공개키가 authorized_keys 파일에 등록되어 있어야 원격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비밀번호 없이 안전한 로그인을 가능하게 합니다.

image.png

known_hosts 파일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원격 서버의 호스트 키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, authorized_keys 파일은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의 공개키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.

image.png

</aside>

1.2.1. 로컬에서 Git 시작

처음부터 개인/팀 프로젝트를 시작할때, 여러분들의 로컬에서 시작하여 원격으로 푸시하게될겁니다.